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nn. 에프터 이펙트와 플러그인(FX Console Plugin)
    걸음마 2019. 2. 17. 23:08

    플러그인은 에프터 이펙트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습니다.

    유료/무료 다양한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FX Console Plugin 

    에펙의 이펙트 기능을 좀 더 편리하게 꺼내쓸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플러그인입니다. 이펙트 검색창이라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01. VIDEO COPILOT (https://www.videocopilot.net/) 접속




    02. tutorials 페이지 클릭




    03. fx console plugin 검색해서 클릭. 다음 화면과 같이 뜨면 윈도우/맥을 구분해서 다운받아줍니다.

    https://www.videocopilot.net/tutorials/fx_console_plugin/






    04. 다운받은 파일을 풀어서 설치해줍니다. 설치도 완전 간단해요.

       




    여기까지는 정말 쉽잖아요?


    윈도우에서 FX콘솔 설치했을 때는 에펙에서 [ctrl+스페이스] 단축키를 눌러주면 콘솔이 바로 열려요.

    근데 맥에서 설치하고 [컨트롤+스페이스] [커맨드+스페이스] [펑션+스페이스] 이거저거 다 눌러봤는데 안 열리는 겁니다... 멘붕...


    혹시 설치가 잘못된 건가 싶어 다시 인스톨도 해보고 구글에 '맥 에프터 이펙트 플러그인 설정' 등으로 검색해서 adobe에서 제공하는 도움말도 찾아 읽어봤습니다.

    어도비에서는 맥에 설치된 플러그인을 불러내려면 [커맨드+컨트롤+쉬프트+헬프]를 누르면 된다고 하던데 키보드에 헬프 키가 어디 있나요....?

    겨우겨우 구글 이미지 검색을 통해 헬프키가 [?/] 요거란 걸 알아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눌러봐도 반응 1도 없습니다.


    그러다 에펙으로 다시 돌아와서 하나하나 차근차근 살펴봤습니다.

    아... 윈도우 메뉴에 FX Console.jsx ....ㅋㅋㅋㅋ


    발견하고 너무 기뻐서 일단 눌렀죠. 설정창도 뜨고 제가 원하는 콘솔 창이 열렸어요!

    그래서 일단 닫고 혹시나 싶어서 [컨트롤+스페이스] 눌러봤습니다.


    분명 무반응이었는데 이번에는 콘솔창이 뜹니다...!


    [컨트롤+스페이스]를 족히 30번은 더 눌러댔던 것 같은데요... 아무튼 해결됐습니다!

    이 글의 작성 목적은 사실 FX콘솔의 소개보다는 혹시 저와 비슷한 이유로 애먼 고통을 받고 계실 분들이 있을까하여....ㅋㅋㅋㅠㅠㅠ





    05. 에펙 - 윈도우 메뉴 - FX Console.jsx






    06. 그럼 콘솔박스가 뜹니다. 설정(Setting)을 눌러주세요.






    07. 설정창에 단축키(Shortcut) 설정을 확인해주세요. 

    기본적으로 [컨트롤+스페이스]로 설정되어 있을 겁니다.

    다른 걸로 선택해주셔도 되고 커스텀을 누르면 원하는 단축키로 직접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단축키가 잘 설정되어 있는 걸 확인하셨으면 OK를 누르고 창을 닫아줍니다.

    단축키 [ctrl+스페이스]







    08. 에펙에서 [컨트롤+스페이스]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제 아래와 같은 콘솔창이 뜹니다.

    이펙트&프리셋 패널에서 이펙트를 검색하고 컴포지션에 적용하는 대신,

    레이어를 선택한 상태로 [컨트롤+스페이스] 눌러주고 원하는 이펙트를 검색해서 바로 입혀주면 됩니다.

    별 차이 없어 보이는 것 같아도 마우스를 쓰는 것보다 키보드로 바로 바로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확실히 콘솔을 사용하는 것이 편하고 쉽습니다.

    이제 맥북에서도 strokes, fast box blur, tint 등 이펙트를 좀 더 쉽게 꺼내서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걸음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콤포지션(Composition)  (0) 2019.02.11
    00. 에프터 이펙트 cc 2018  (0) 2019.02.11
Designed by Tistory.